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인수테스트
- 자바의정석
- java
- 애너테이션
- privateapi
- github actions
- bean
- 비정적중첩클래스
- 9기
- IoC
- 일급컬렉션
- 다형성
- 스프링컨테이너
- DI
- 항해99 9기
- 정적중첩클래스
- 변경감지
- 서버사이드렌더링
- 인프콘
- Velog
- 더티채킹
- 스파르타코딩클럽
- 클라이언트사이드렌더링
- refreshtoken
- 지네릭스
- publicapi
- Spring
- SOLID
- 싱글톤패턴
- 항해99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pa (1)
멈재

JPA에서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병합을 통한 변경 시에 주의할 점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Spring Data JPA에서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더티채킹에 의한 변경 병합(merge)을 이용한 변경 그리고 Spring Data Jpa를 이용하여 작성한 코드는 보통 다음과 같은 패턴의 형태로 동작되게 됩니다.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jpa");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ry { tx.begin(); // biz l..
JAVA & Spring & JPA
2023. 12. 9. 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