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파르타코딩클럽
- 다형성
- Spring
- Velog
- github actions
- 항해99
- 일급컬렉션
- java
- 인프콘
- 비정적중첩클래스
- 애너테이션
- bean
- 정적중첩클래스
- publicapi
- IoC
- DI
- 지네릭스
- 9기
- 자바의정석
- 스프링컨테이너
- 인수테스트
- refreshtoken
- privateapi
- 싱글톤패턴
- 더티채킹
- 항해99 9기
- 클라이언트사이드렌더링
- 서버사이드렌더링
- 변경감지
- SOLID
- Today
- Total
목록크라운드 (3)
멈재

크리에이터 목록 조회를 마치고 숏클래스 목록 조회 기능을 구현하던 찰나에 마주한 삽질 일기이다. 문제 상황은 다음과 같다. 숏클래스와 콘텐츠의 조회 기능에서는 로그인한 사용자라면 좋아요 또는 북마크한 대상인지를 나타내주어야 했다. 테이블 구조는 대강 아래 이미지처럼 되어있다. 또한, 컨텐츠는 사용자에 따라 좋아요 또는 북마크한 대상을 나타내야 하는 비즈니스라서 양방향 관계를 맺어주는 것이 낫다고 판단되어 콘텐츠는 좋아요와 북마크간에 양방향인 상태이다. 숏클래스 목록 조회의 전체 과정은 이렇다. 1.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낸다 2. (일부 과정 생략) 3. 커스텀 애너테이션을 컨트롤러 메서드 파라미터에 붙여 ArgumentResolver가 동작되어 객체로 바인딩 4. 서비스 계층에서 바인딩된 객체의 값으로..

크라운드 첫 번째 글에 이러한 내용을 작성했었다.... 문제와 해결에 정보를 더한 양질의 내용으로 적어야 하지 않을까란 고민 때문에 포스팅까지 이어지는데 꺼려졌다. 지금은 그래도 일단 쓰자란 생각이 강하게 들어서 부족한 내용을 담더라도 쓰는 것을 중점으로 두려고 마음을 다잡았다. 그러나 너무 간단한 고민인 건 아닐까? 너무 당연한 내용은 아닐까? 내용이 너무 짧은 건 않을까? 라는 생각에 주저하게 되었고, 그렇게 대략 20개의 부채가 쌓여버렸다.. 지금에서는 귀찮고 미뤄서 못쓴다기보다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못쓰는게 크다. 그래도 차근히 지워나가려고 한다. 크라운드 1편에서 정적 도구로써 코드 리뷰 봇을 도입했다고 소개했는데, 요 녀석이 가끔 이러한 리뷰를 해주었다. 단순히 가독성을 위해 이러한 리뷰를 ..

지난달말부터 디자이너1, 프론트1, 백엔드1의 구성원으로 토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주제는 흔히 보이는 멘토멘티를 매칭 서비스로 모집했지만 커피챗 서비스로 약간의 방향만 바꾸었다. 최종적으로 1인 크리에이터를 위한 커피챗 서비스를 만들기로 결정되었다. https://github.com/cround-team/cround-server GitHub - cround-team/cround-server: cround server repositorycround server repository. Contribute to cround-team/cround-serv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우리는 어떻게 소통하고 있을까카카오톡, 노션, ..